티스토리 뷰
목차
지금 확인하시면 상장일 시초가 흐름과 매도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하실 수 있어요. 검색에 시간 낭비하지 마세요.
공모가부터 청약까지, 시작부터 뜨거웠던 지투지바이오
지투지바이오 공모주는 상장 전부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. 공모가 58,000원이라는 높은 단가에도 불구하고, 기관 수요예측 810.6:1, 일반청약 경쟁률 470:1이라는 기록적인 수치가 나왔기 때문입니다.
저도 개인 투자자로서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균등 청약에 참여했습니다. 하지만 높은 경쟁률 탓에 균등 배정은 1주도 채 안 되는 수준. 결국, 1주 배정에 성공했지만 그 과정은 쉽지 않았죠.
드디어 상장일, 시초가와 매도 결정의 순간
2025년 8월 14일, 지투지바이오는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. 시초가는 공모가 대비 67% 상승한 96,900원에서 형성되며 놀라운 출발을 보였죠.
공모가가 높아 리스크를 고려했던 저는 개장 직후 시초가 매도를 선택했습니다. 단 1주였지만, 약 30,000원 수준의 수익을 거둘 수 있었죠. 시장 흐름상 최근 공모주들이 “전강후약” 흐름을 보였다는 점도 결정에 영향을 줬습니다.
매도 후 흐름과 시사점
이후 지투지바이오 주가는 조정을 받으며 등락을 반복했습니다.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41.76%로 증가했지만, 여전히 유통 가능 물량은 많았고 상장일 기준 유통금액은 약 882억 원으로 꽤 큰 편이었습니다.
결국 매수·보유보다 시초가 매도 전략이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판단합니다. 비례 청약이 힘든 상황에서, 균등 1주라도 수익을 챙길 수 있는 기회였으니까요.
공모주 외에도 알아두면 좋은 정보는?
이런 공모주 투자도 중요하지만, 평생을 좌우할 자산인 국민연금도 함께 챙기셔야 합니다. 공모주로 단기 수익을 챙기셨다면, 이제 지투지바이오 같은 바이오 산업 정보도 공식 사이트에서 체크해보세요.
이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, 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공모주 및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며,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 투자 전 반드시 본인의 재무 상황과 투자 성향을 고려하고, 최신 공시 자료 및 증권사 안내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